Empyrion - Galactic Survival

Empyrion - Galactic Survival

Not enough ratings
엠피리온 - 은하 생존자 한국인 가이드
By [kor]ingyer(가루바)
해당 가이드는 처음 이게임을 접하는 한국인을위해 필수 조작법 및 게임 시스템을 설명하기위해 썻습니다.
이 글을 쓰는 당사자조차 서바이벌 쌉뉴비라 고인물 입장으로썬 일부정보가 틀리거나 빠졌을수도 있습니다.
   
Award
Favorite
Favorited
Unfavorite
게임시작! 그리고 지옥의 시작!
엠피리온을 구매하신것을 축하합니다!

당신은 굳이 더 좋은게임이 있을수도 있고 그 돈으로 맛있는 치킨을 사먹거나 더욱 재미있는 게임을 구매할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게임을 선택하셧군요! 개인적으로는 엄청나게 혹평이 나올만한 게임이지만 그래도! Space Engineers 보단 할만할테니 해당 게임을 해보신분이라면 그래도 편의성에 놀랄겁니다!
1. 게임 도입부 및 기본조작과 고급조작
게임을 시작하신 시점에 여러분은 탈출선을 타고 낙하하실겁니다. 해당지점은 멀티플레이어에서도 첫 접속시 고정으로 들어오니 어느 환경에서 시작했을진 모르겠으나 해당 가이드를 쓴사람은 숲에서 시작했기에 숲 기준으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

게임 시작후 플래시라이트,생존도구,탐색기 를 지급해줄겁니다.
만일 없다면 바닥에 떨어져있거나 탈출선 내부에 들어있으니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기본적인 조작법과 미리 알아두면 좋은것을 알려드리겠습니다.

WASD - 기본움직임
R - 재장전
우클릭 - 보조기능
* 총기의 경우엔 정조준. 멀티툴,드릴,생존도구의 경우엔 모드변경. 설치물의 경우엔 모습변경
휠 업,다운 - 보조기능
* 기본 상태에선 툴바에 등록된걸 선택함. 조준경이 있는 총기 또는 터렛의경우 확대,축소됨.
F - 각종 상호작용(줍기,탑승 등)
L - 광원 On/Off (플래시 라이트가 인벤토리에있을경우 플레시라이트만 켜짐.)
* 해당 버튼은 차량의 빛을 껏다 키기도함.
Tab - 인벤토리
F5 - 드론 배치
* 해당 드론은 멀티툴,드릴,생존도구,아이템 설치(블럭 등)에만 사용가능. 단, 사용하고있는 도중엔 캐릭터는 무방비가됨.
U - 헬멧 벗기
* 산소가 없는 공간에서 벗을경우 질식사합니다.
J - 제트팩 (방어구를 장착해야만 작동함)
Y - 전원 On/Off
* 비행선,차량,함선,기지의 전원을 껏다킴.
X - 쉴드 On/Off
* 쉴드를 껏다키는데 사용됨. 자세한것은 추후 상술
P - 컨트롤패널
* 전체적인 컨트롤패널(무기부터 전원까지 컨트롤가능한창)

이 기능들은 나중에 엄청나게 자주 누르게될 예정입니다.

처음에 시작하셧으면 이것저것 신기할겁니다. 지금은 일단 보이는것들을 마구 캐고싶으시겠으나 일단 탐지기를들고 주변에 뭐가있는지 탐지부터합니다.

만일 광물자원이 있다면 해당자원들은 철,구리,실리콘 중 1개며 자주 쓰일것이니 위치만 알아둡시다.

일단 보이는 퀘스트를 따라가면 그나마 편하겠으나 거의 미번역이고 진행한다해도 경험치를 준다거나 아이템을 주진않으니 무시하고 먼저 기지부터 지읍시다.

맨처음에 파란색 선이 보이는 돌을 찾아 캡니다. 또는 지하의 철광맥을찾아 철을 찾아 캡니다.
철광석을 이용해 휴대용 제작기를 만든뒤 주변에 나무(또는 작은나무),실리콘,구리를 채집합니다.

주변의 생물을 잡아 레벨을 3까지 만든뒤 권총,제작기 를 배운후 주변에 적당히 기지를 세울만한곳을 찾습니다.

기지를 건설할곳에 휴대용 제작기를 설치한 후 기반이 될 블럭을 설치합니다.
나무가 가장 싸니까 나무로합시다!

블럭을 최소 4X4 또는 5X5 정도 설치한뒤 휴대용 제작기에서 제작기와 소형 태양광 발전기,솔라 캐퍼시터,코어 를 제작후 해당 기지블럭에 설치합니다. 이로써 낮 시간대에는 제작기를 이용해서 기본적인 제작이 가능해졌습니다. 만일 밤일경우 소형 발전기,연료통 (1T)를 제작후 설치한다음 휴대용 제작기에서 바이오 연료를 제작해 만든 뒤 P를 눌러 연료 관리 또는 완전충전 버튼늘 눌러 연료를 충전합니다. (관리버튼 누를경우 연료를 빈칸으로 옮겨야함.)

이로써 행성에서의 생활이 준비되었습니다! 이제 제작기를 통해 총과 총알을 만든뒤 열심히 생물을 사냥해 레벨업을하세요! 기본적인 생활에 관해선 다음 항목에서 설명하겠습니다!
2. 기본적인 생활
엠피리온에서의 생존자 생활시 주의해야하는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물자를 가능할때마다 비축할것.
2. 베이스기준 500M반경내 잡초,나무는 전부 없앨것.
3. 가급적이면 적대적 세력을 만들지 말것.
* 적대적 세력이 생길경우 베이스에 지속적인 병력을보내 괴롭힙니다.
* 만일 퀘스트를 진행할경우 Zyrax Empier로 부터 적대적이 되어 지속적으로 괴롭힐겁니다.
4. 타 세력권 내에서 활동할경우 먼저 Tab버튼을 눌러 상단에 사람이 3명 뭉쳐있는 모양을 클릭후 해당 새력권의 우호도 및 하락조건을 확인할것.
* 기본 절반으로 시작하지만 만일 12000에 가깝거나 이하일경우 주변의 포식자들 (붉은색 또는 노란색으로 이름이 표기되며 야생동물들)을 사냥하여 올릴수있습니다. 또는 사람 3개 뭉쳐있는 모양 옆에있는 PAD에 들어가 해당 세력권 내 솔로퀘스트를 받아 진행하면 "현물로된 돈"과 해당 세력의 평판을 습득합니다.
5. 베이스 기준 1KM 반경 내 스캔을 반드시 완료할것.
6. 주변의 야생동물 또는 포식자들을 최대한 지속적으로잡아 레벨을 10까지 올릴것.
* 레벨 10에 도착했을경우엔 기지의 여러 기능들이 있는 건설물을 배울수 있으며 조금 더 좋은 총기와 방어구가 제작이 가능해집니다.
7. 행성의 절반정도는 스캔을 완료하십쇼.
* NPC와의 교전은 최대한 피해야 하며 멀티플레이 한정으로 한사람은 탐색, 한사람은 채집이 가장좋음.
8. 기지확장 및 각종 기능들 건설 필요한 건설물은 아래와 같음.
* 클론 쳄버,메디컬 쳄버,푸드 프로세서,냉장고,카고 컨테이너,프로젝타일 터렛(30mm) 2개 및 탄약 400발
3. 우주 진출 단계
우주 진출을 하기위해선 비행선이 필요하지만 직접 만들기엔 조금 애매하니 기본 제공되는것을 이용합시다!

Tab을 눌러 상단의 패널에 우주선 모양을 선택한후 나오는 설계도들을 소형함선만 나오게 합니다.
설계도 리스트 상단에 딱붙어있는 조그마한 네모들중 줄이 한개짜리인 비행선을 선택하면됩니다.

선택후 리스트의 Javelin을 찾아 선택후 하단의 끝 공장(영어 원문은 To Factory입니다. 발번역;;)을 누릅니다. 그 뒤 필요한 자원을 투입하면 됩니다.
제작시간을 단축하고 싶을경우 원자재가아닌 가공된 자재(철판,컴퓨터같은 부품 또는 이미 제작완료된 블럭자체)를 넣을경우 단축되며 최대 단축가능한 시간은 1초입니다. 아직은 뭐가 들갈수있는지 없는진 표기가 안됨으로 기본적으로 추진기,코어,RSC등은 기본적으로 들어가니 넣으면됩니다.

자벨린이 완성된뒤 해당 비행선의 무장,재급유 및 산소공급부터 합시다.

산소는 담수 제조기를 물에넣어놓고 연료를 집어 넣고 기다리면 물통이 만들어집니다.
그 후 제작기에서 물통을 무기칸에서 산소로 변경이 가능하니 아이템을 그대로 P를눌러 산소공급을 끝내면됩니다.

연료는 기존의 바이오연료도 된다만 만일 프로메튬으로 제작된 연료가 있다면 해당 자원을 넣어도 됩니다. 기본적으로 교전을해서 선체에 손상만 가지않는다면 대형함선을 제조할때까진 해당비행선이 유용하게 사용될겁니다.

연료와 산소는 기본적으로 50%정도 충전하는것을 추천하며 "비상상황"을 대비해 자벨린을 한대 더 제조를 돌려 현장에서 즉시소환 가능한상태로 만들어두는것을 추천합니다.

함선 조작은 다음과 같습니다.

W - 전진
S - 후진
A - 좌측으로
D - 우측으로
Q - 좌로 회전
E - 우로 회전
L - 함선 광원변경
* NVG 화면의 경우 인벤토리에 NVG를 소지한채로 1인칭에서 변경가능.
V - 시점 변경
Alt - 자유시점 On/Off
I - 자동 브레이크 (대기권 내에선 전체 브레이크와 고도유지모드가 따로있음. 우주에선 그저 On/Off)
마우스 - 함선 방향 조정
K - FTL 워프 드라이브 가동 (비행선에 장착되어있어야 사용가능)
{자벨린 무장}
1번 미니건 4문 (15MM이며 총합 1200발 장전됨. 1번 발사시 4발소모)
2번 탐지기 (대기권 내 3.2KM, 우주공간 12KM 탐지가능)

함선을 90도 가까이 올려 우주 공간을 향해 발진! 다만 다른 행성을 가기위해선 워프장치가 필요합니다.
4. 기타 잡다한팁
여기서는 잡다한팁을 알려드립니다.

1. Ore Scanner는 쓸대가 없다. 그냥 엄청나게 양산해서 NPC한테 같다 팔아먹으면 1개당 1000크레딧 살짝 넘을정도로 지급하며 대략 50개정도 판매할경우 미디움 아머를 NPC로부터 구매가능합니다.
2. 돈은 중요합니다! 현재 있는곳에서 구하지못하는 자원도 돈으로 후려칠수있으니까요.
3. Zyrax Empier는 아주 훌륭한 줄입니다. 다만, 혼자상대하면 탈탈 털릴수도 있지만요.
4. 어떠한 장비를 탑승하고 교전을 한다해도 쉴드없이는 매우 힘들수있습니다.
5. 달에선 매장된 펜탁시드 외에도 추락한 대형함선이 있습니다. 인양 작업시 매우 많은 자원을 습득가능합니다.
* 땅속에 묻혀있으니 파내서라도 전부 인양하세욧!
6. 구조물은 지지된 연결부만 사라지면 전부 습득가능한 잔해가됩니다. 다만, 매우 빨리 사라지니 30초안에 줍는게 좋습니다.
7. 앵간한 퀘스트를 진행해도 Zyrax Empier가 악역으로 튀어나오니 퀘스트 진행할것이라면 친해지는것은 포기하는게 편합니다.
8. 쉴드는 쉴드장치,펜탁시드 연료통,오프라인 보호장치가 있어야 충전 및 가동이 가능하며 쉴드가 활성화 되어있는동안 어느 피해도 받지않으나 설치도,공간 이동도 불가능합니다.
9. 텔레포터 이용시 목적지의 진영과 우호관계에 있어아먄 타 진영으로 텔레포트가 가능하며 본인진영의경우 30LY(AU)거리까지 가능하며 워프시 표기된 숫자많큼 펜탁시드가 소모됩니다.

솔직히 본인은 플레이하면서 교전이란 교전은 하도하다보니까 자벨린만 2번날린경험이...
그중 한번은 달에서 채굴작업중 자벨린이 망가져서 결국 회수하고 재건설해서 탈출하려햇지만 플라스틱 원료가 부족해서 질식사했다는 슬픈 전설이....